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[연재 제5편] 1918년 – 마지막 도박: 독일의 봄 공세와 제국의 몰락

by 스토리트레블 2025. 4. 6.
반응형

이제 연재 제5편으로,
1918년 – 제1차 세계대전의 마지막 해이자,
세계를 바꾼 도박과 몰락의 시기를 다루겠습니다.


[연재 제5편] 1918년 – 마지막 도박: 독일의 봄 공세와 제국의 몰락

총연재: 20편 / 주제: 1차 세계대전부터 냉전까지의 세계사 스토리


1. 독일의 마지막 도박 – 루덴도르프 공세 (3~7월)

출처 : 나무위키

동부 전선이 사라지고, 기회가 왔다

1917년 말, 러시아가 전쟁에서 이탈하며
독일은 동부 전선에 투입됐던 병력을 서부 전선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됩니다.

  • 병력 약 50만 명 이상 재배치
  • 미국군이 본격적으로 도착하기 전 속전속결이 필요

에리히 루덴도르프는 마지막 도박을 감행합니다.
그 이름은 바로 봄 공세(Spring Offensive).
작전명: 미하엘, 게오르크, 가나이트 등


미하엘 작전 – 파리를 향해 달려라

  • 3월 21일 시작
  • 독일군, 5천 문 이상의 대포로 5시간 동안 포격 후 돌격
  • 단숨에 연합군 참호 돌파, 파리까지 90km 접근

“몇 주만 더 있으면 끝날 전쟁이었다.” – 루덴도르프 참모

하지만,

  • 병력 손실 급증
  • 보급선 정비 실패
  • 연합군의 반격

결국 독일은 공세 능력을 상실합니다.


2. 연합군의 반격 – 100일 공세 (8~11월)

출처 나무위

미국군, 전면 등장

  • 1918년 여름부터 미국 원정군(AEF) 본격 전투 투입
  • 지친 독일군과는 대조적으로 사기 높고 보급 충만

아미앵 전투 – 전세가 뒤집힌 날

출처 : https://blog.naver.com/yumiun/221628524467

  • 8월 8일, 프랑스 + 영국 + 미국 연합
  • 전차·항공기·보병이 유기적으로 움직인 현대전의 시초
  • 독일군은 대혼란 → 이 날을 “독일군의 검은 날”이라 부름

100일 공세의 흐름

  • 8월 ~ 11월
  • 연합군, 전선을 서서히 밀어냄
  • 독일군은 전략적 후퇴 반복
  • 점령했던 벨기에, 프랑스, 알자스-로렌 등 차례로 상실

“이제 전쟁은 끝날 수 있다는 희망이 생겼다.” – 프랑스 총사령관 페르디낭 포슈


3. 제국들의 몰락 – 유럽의 판도가 무너지다

오스트리아-헝가리 제국의 해체

  • 다민족 국가였던 오스트리아-헝가리 제국,
    전쟁 막판 민족주의 봉기 확산
  • 체코, 슬로바키아, 헝가리, 유고슬라비아 등 독립 선언

→ 결국 11월 초, 제국 해체정전 협상 요청


오스만 제국 – 아랍에서 끝난 제국의 그림자

  • 아랍 반란 + 영국군 진격 → 다마스쿠스 함락
  • 아나톨리아를 제외한 대부분의 영토 상실
  • 10월 말, 무드로스 정전협정 체결
  • 600년 넘게 이어진 제국의 시대 마감

독일 제국 – 황제의 몰락

  • 전쟁 패배 + 연이은 폭동
  • 독일 해군 봉기 → 전국적 혁명 확산
  • 11월 9일, 빌헬름 2세 퇴위
  • 바이마르 공화국 수립
  • 11월 11일 오전 11시, 정전협정 체결

“독일은 총칼보다 굶주림과 피로에 의해 무너졌다.”


4. 새로운 전쟁의 방식 – 기술, 전술, 그리고 인간의 변화

총력전 완성

  • 전선과 후방의 경계 붕괴
  • 여성과 어린이까지 전쟁에 동원
  • 산업, 경제, 정치 모두가 “전쟁을 위한 기계”로 전환

무기 기술

  • 전차: 대량 투입 (아미앵 전투 등)
  • 항공기: 정찰 → 전투기 → 폭격기로 발전
  • 독가스: 전쟁 후 국제법으로 금지 논의
  • 무전, 기계화, 작전계획 시스템 정비

“이제 전쟁은 강한 자가 아닌, 준비된 자의 것” – 1918년 프랑스 군사 보고서


5. 아시아의 그림자 – 일본과 식민지, 그리고 불씨

일본의 움직임

  • 전쟁 참여 최소화, 피해 없음
  • 시베리아 간섭전쟁(1918년~) 통해 러시아 내 영향력 확대 시도
  • 파리 강화회의(1919) 대비해 국제사회 존재감 부각 준비

조선과 아시아의 움직임

  • 식민지 병력 대규모 동원 (조선인도 참전)
  • 서구 제국주의의 이중성 인식 확대
  • 민족주의와 독립운동의 불씨 형성 → 훗날 3·1운동의 배경

1918년 총정리

구분 주요 사건
독일 봄 공세 실패, 제국 붕괴, 정전협정 체결
연합군 100일 공세 성공, 전선 탈환, 전쟁 종결 주도
제국 해체 오스만, 오스트리아-헝가리, 독일 제국 몰락
미국 전면 참전, 전세 역전 주도
기술 전차·항공기·총력전 완성, 전쟁 양상 변화
아시아 일본 영향력 확대, 식민지 민족주의 자각 가속화

마무리: 총성은 멈췄지만, 전쟁은 계속되었다

1918년 11월 11일,
서부 전선의 총성은 멈췄습니다.
그러나 이것은 진짜 끝이 아니었습니다.

  • 1,000만 명 이상이 죽고,
  • 수천만 명이 고향을 잃고,
  • 전 세계는 새로운 갈등과 상처를 안고,
    전후의 혼란기 – '베르사유 체제'로 진입합니다.

진정한 전쟁은 이제부터 시작이었습니다.
무너진 세계 위에, 어떤 질서가 세워질지 아무도 몰랐죠.


다음 편 예고

[연재 제6편] 1919년 – 베르사유 조약과 전후 세계의 재편

승자는 정의였을까?
아니면 단지, 덜 지친 쪽이었을까.


📚 참고한 출처

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