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이번 [연재 제12편]에서는
드디어 제2차 세계대전이 공식적으로 시작된 해, 1939년의 상황을 다룹니다.
히틀러의 폴란드 침공,
유럽 열강들의 전면전 돌입,
그리고 세계대전의 첫 단계가 어떻게 전개되었는지를
입체적으로 정리해보겠습니다.
[연재 제12편] 1939년 – 전쟁의 문을 열다: 폴란드 침공과 세계의 반응
총연재: 20편 / 주제: 1차 세계대전부터 냉전까지의 세계사 스토리
1. 새벽의 폭격 – 폴란드 침공
1939년 9월 1일, 새벽 4시 45분
- 독일군이 폴란드 그단스크(단치히) 인근의 방위기지인 베스테르플라테에 폭격 개시
- 독일 공군 루프트바페의 폭격과 함께,
기갑부대(전차)와 기계화 보병이 동시 진격 - 역사상 최초의 전격전(Blitzkrieg, 번개 전쟁) 전술 적용
독일의 침공 명분
- 폴란드계가 독일계 주민을 박해했다는 조작된 이유
- “독일 국민 보호”라는 명분 아래 침공 정당화 시도
- 그러나 실상은 유럽 재편의 서막
2. 소련의 침공 – 몰로토프-리벤트로프 조약의 비밀
독소 불가침 조약(1939.08.23)
- 독일과 소련, 서로 공격하지 않기로 합의
- 비밀조항: 폴란드를 양분하기로 결정
- 세계는 충격… 공산주의와 나치즘의 “거래”
9월 17일, 소련군 동진
- 독일이 폴란드 서부 점령 중
→ 소련군, 폴란드 동부에서 침공 개시
“폴란드는 두 강대국 사이에서 찢겨나갔다.”
3. 영국과 프랑스, 전쟁을 선포하다
유화의 끝
- 9월 3일, 영국과 프랑스, 독일에 전쟁 선포
- 그러나 직접 군사 행동은 미미
- “가짜 전쟁(Phoney War)” 시기 진입
→ 전쟁은 시작됐지만, 유럽은 아직 움직이지 않음
서방의 전략적 고민
- 군사적 준비 미비
- 대중의 반전 여론 고려
- 독일과의 충돌을 늦추려는 기류 여전
“전쟁은 선포됐지만, 총은 아직 잠자고 있었다.”
4. 폴란드의 운명
- 10월 초까지 폴란드는 완전히 점령
- 독일은 서부, 소련은 동부 점령
- 폴란드 정부는 망명, 런던으로 피신
- 수백만 폴란드인들,
강제이주·수용소·학살의 운명을 맞이함
5. 나치의 점령정책 – 테러와 착취의 시작
독일 점령지 정책
- 즉각적인 정치인·지식인 체포
- 유대인 분리 및 격리 → 게토 설립 시작
- 경제적 자원 착취 및 강제노동 체제 구축
폴란드 내 유대인 탄압
- 수백 개 유대인 공동체, 게토로 강제 이동
- 1939년은 홀로코스트의 전초 단계
“그들은 아직 가스실을 만들지 않았지만,
이미 인간을 숫자로 취급하고 있었다.”
6. 소련의 동유럽 병합과 대숙청 확산
- 소련은 폴란드 동부뿐 아니라
발트 3국(에스토니아·라트비아·리투아니아)
그리고 핀란드 국경에 영향력 확대
카틴숲 학살 (예고)
- 점령 직후, 수만 명의 폴란드 장교·지식인 체포
- 이들은 훗날 1940년 ‘카틴숲 학살’로 이어짐
7. 세계는 어디로 – 미국과 아시아의 침묵
미국 – 중립 유지
- 루스벨트 대통령은 전쟁 지원에는 찬성하지만,
미국 내 반전 정서 강해 군사 개입은 자제
일본 – 중국 침공 계속
- 서방의 시선이 유럽에 쏠린 사이,
일본은 중국 내 점령지 확장 지속 - 1939년 말, 중국군의 반격과 게릴라전 증가
1939년 총정리
지역 | 주요 사건 |
---|---|
독일 | 폴란드 침공, 전격전 개시, 서방의 전쟁 선포 유도 |
소련 | 폴란드 동부 점령, 발트 영향력 확대 |
폴란드 | 분할 점령, 정부 망명, 민간인 대규모 피해 |
영국·프랑스 | 전쟁 선포, 그러나 실질적 대응 부족 |
미국 | 중립 유지, 물자 지원 시작 |
일본 | 중국 침략 지속, 국제사회 침묵 속 확장 가속 |
마무리: 전쟁은 시작됐다. 그리고 더 거세질 뿐이다
1939년은 전쟁이 ‘정식으로’ 발발한 해였습니다.
그러나 그 실체는 단지 유럽에 그치지 않았고,
세계를 태우는 불길로 확산되기 시작했습니다.
- 독일은 번개처럼 유럽을 덮치고
- 소련은 조용히 국경선을 바꾸며
- 일본은 더 깊숙이 중국을 물어뜯고 있었죠.
“전쟁은 국가의 것이 아니라, 이제 인류의 재난이 되었다.”
다음 편 예고
▶ [연재 제13편] 1940년 – 프랑스의 붕괴, 대서양 전쟁의 시작
히틀러의 전차는 파리를 지나갔고,
영국은 홀로 남아야 했다.
드골, 처칠, 그리고 덩케르크의 기적.
📚 참고한 출처
- Britannica – Invasion of Poland
- Imperial War Museums – The Outbreak of World War II
- Wikipedia – Molotov–Ribbentrop Pact
- Holocaust Encyclopedia – Ghettos in Occupied Poland
- 국사편찬위원회 – 일제 침략과 중일전쟁
반응형